저는 git 에서 clone을 하거나 pull, push 를 할 때 ssh키를 많이 사용합니다. 뭐때문인지 그냥 하면 비밀번호나 이름 같은것들이 꼬여서 잘안되더라고요.. 기껏 mac에 익숙해졌는데 이젠 집 컴퓨터는 window 기반이라 다시 window에서 ssh 키를 어떻게 생성하는지 찾아보게 됩니다. 다음에도 필요할지 모르니 블로그에 포스팅 저장해둡니다.
아래는 맥 ssh 키 생성하고 git에 등록하는 링크입니다.
맥(mac)에서 깃(git) 사용하기 - window git 사용과 비교하기 (터미널, 터미널 경로, git bash, ssh key 등록)
이전 회사가 window를 사용했기 때문에 노트북이 mac pro 였음에도 window에 익숙해져버린 나머지 작업을 할 땐 노트북 보다 데스크탑에서 작업을 했었는데 이직을 하면서 mac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.
worker-k.tistory.com
이미 ssh키가 있을지도 모르니 ssh 키가 있는지 찾아봅니다.
1. window 명령창에서 확인 ( 단축키: window키 + r )
$type %userprofile%\.ssh\id_rsa.pub
2. Git bash 창에서 확인 ( 검색: git bash 검색 )
$cat ~/.ssh/id_rsa.pub
없다면 새로운 ssh키 생성하기
1. Git Bash 창을 열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$ssh-keygen
2.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ssh키가 생성됩니다. 어디에 저장이 되어있는지 확인해줍니다.
3. 메모장을 해당 파일을 열어줍니다. 이 때 '모든파일'로 지정해 준 뒤 앞에 아이콘이 있는 파일을 선택합니다.
4. 생성한 ssh 키를 모두 복사해 줍니다.
5. Git hub에 로그인 하셔서 상단 우측 자신의 프로필 클릭 > settings , SSH & GPG keys > new SSH key > title 에 해당 기기 이름 적은 후 (ex_ home or macbook 등등..) 아까 복사한 모든 코드 붙혀 넣어줍니다.
'업무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Hub 간편하게 배포해서 포트폴리오 관리하기 - GitHub pages (0) | 2020.12.14 |
---|---|
스타일 폰트 단위 rem em 의 차이, vw 언제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 (0) | 2020.12.09 |
반응형 홈페이지 만들 때 고민해 보았던 것들 (0) | 2020.11.18 |
이메일 코딩하고 테스트 하기 (2) | 2020.11.05 |
React BrowserRouter와 HashRouter의 차이점 정리 (0) | 2020.10.21 |